• 최종편집 2024-05-31(금)
 
SOFA 합동위, 사실관계 파악 후 종합·체계적 대책 마련
 
 
탄저균.jpg
 
 
 지난 15일 평택시의회(의장 김인식) 의원 일동이 제176회 제1차 정례회 폐회 후 미국정부를 규탄하는 탄저균 반입에 대한 미국정부의 진상규명 및 공식사과 촉구 성명서를 발표한 가운데, ·미 양국은 같은 날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제195차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합동위원회를 열어 주한미군기지 탄저균 배달 사고에 대해 중점 협의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한·미 양측은 2013년부터 연 2회 합동위 회의를 개최해 주한미군 관련 현안들을 협의해오고 있다. 이번 회의는 올해 상반기 정례회의에 해당된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번 회의 의제는 주한미군으로의 탄저균 배달사고 포천 도비탄 사건 미군기지 환경문제 주한미군 한국인근로자 문제 주한미군 범죄 예방 등이었으며, 특히 지난 5월 발생한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사고와 관련해 지난 11일 한미 합동실무단(JWG : Joint Working Group)이 구성된 것을 평가했다.
 
 한·미 양측은 향후 이 합동실무단의 활동을 통해 면밀한 사실관계 파악이 이뤄지고 유사한 사고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속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미측은 우리 정부와 보조를 맞춰 미군 관련 범죄를 감소시켜 나가는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탄저균2.JPG
▲ 15일  ‘탄저균 반입 공식사과 및 진상구명 촉구 성명서’를 발표한 시의원 일동
 
 앞서 평택시의회는 탄저균 반입 공식사과 촉구 성명서를 통해 대한민국 안보의 중심에 있는 반인륜적 생화학무기인 탄저균이 배달되었음을 46만 평택시민은 경악과 분노를 금치 못한다미국정부는 탄저균 사태의 진상규명은 물론 46만 시민 앞에 재발방지 약속과 이에 대하여 공식 사과할 것을 강력히 주장했다.
 
 아울러 성명서 발표를 제안한 김수우 의원(주한미군평택이전 대책 특별위원회 위원장)탄저균 불법 반입 및 실험 등의 철저한 진상규명과 시민들의 안정 보장을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527일 평택 신장동 K-55 오산미공군기지에서는 정부와 국민 모르게 탄저균이 활성화 상태로 밀반입 되어 미 공군 등 22명이 탄저균에 노출돼 격리 검사를 받았으며 실험실을 일시 폐쇄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반인륜적 생화학무기로 알려진 탄저균은 흡입을 통한 감염의 경우 사망률이 100%에 가까우며 항생제 투여와 처치 하에서도 45% 이상의 사망률을 보이는 살상 무기로 알려져 있다.
 
서태호 기자 ptlnews@hanmail.net
 
★자치돌이★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태그

전체댓글 0

  • 2100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미 SOFA 합동위 “평택 탄저균 배달사고 재발 방지 협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