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2(목)
 


소태영 세상보기.jpg
소태영 경기남부하나센터 센터장

갑진년 시작부터 한반도 정세는 긴장이 고조되어 ‘전쟁’이란 단어가 나오면서 불안에 익숙해져 가고 있다. 한반도 전문가들이 전쟁을 언급하기 시작한 것도 불안을 증폭시키는 원인이기도 하다. 9·19 군사합의 파기, 연락 채널 두절, 최고당국자 간의 ‘말 폭탄’으로 전쟁이라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북한은 대한민국을 제1의 적대국이자, 불법의 주적으로 간주하겠다고 한다. 한국과의 민족 관계를 포기하고 70여 년 남북 관계의 근본적인 전환을 꾀하고 있다. 전쟁이 나면 “대한민국을 완전히 점령, 평정, 수복하고 공화국 영역에 편입시키겠다”고 밝혔다. 그저 ‘브리핑’으로 넘기기엔 상황이 매우 엄중하고 위태롭다. 


또한 북한은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했다. 경계선을 그릴 수 없는 바다가 전장이 될 판이다. 이미 세 차례 교전이 벌어진 바 있고, 연초부터 포격전의 공방이 오갔던 서해상에서 충돌을 막을 빗장이 풀린 것이다. 전문가들은 남북 간 소통 채널이 끊긴 상황에서 우발적 충돌이 확전으로 번질 가능성을 우려한다. 이렇듯이 대한민국 사회는 4.10 총선을 앞두고 남과 북의 정치적 혼돈 상태에 빠져있다.


한반도 위기감이 점점 높아갈수록 남한에 살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심정은 더 복잡하고 착잡할 것이다. 북한에 대한 남한 사람들의 정치적 이념으로 악화된 감정이 북한이탈주민들을 향한 적개심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럴 때일수록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지역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정착은 그 자체로 인도주의적 중요성이 있으며, 향후 남북통일이나 사회통합의 밑거름으로도 기능할 수 있는 만큼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지원구상과 대책이 필요하다.


북한이탈주민들은 남북한 분단과 갈등의 희생자이다. 아울러 북한이탈주민은 남북한 통일사회를 미리 경험하는 새로운 기회를 우리에게 제공하는 사람들이기도 하다. 물론 개인별로 다른 경우도 있겠지만 큰 틀에서 우리는 분단의 희생자이자 통일의 기회로 북한이탈주민 문제를 접근하고 바라봐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을 대하는 남한사회의 눈에 보이지 않는 차별의식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냐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차별 문제는 지역사회에 살아가면서 지역공동체 속에서 긴 시간 형성되어야 하는 생활문화와 연결되는 문제이며, 이런 점에서 지역사회, 민간(단체)의 협력은 물론 지역주민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등 지역구성원 모두가 북한이탈주민들을 우리의 진정한 이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현재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사람과 정치, 경제, 사회적 삶 속에서 아무런 차별이 없는 주민이 되길 희망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사회에서 제2의 고향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들이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인지 우리 모두 고민해야 한다. 이런 문제의식 속에서 지자체와 지역구성원의 다양한 역할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안정적 정착과 지역사회통합을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특히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내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들도 지역사회 공동체의 구성원이자 동등한 지역주민으로 인식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착, 취업 및 자립을 위한 책임성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이 지역사회에 전입한 이후에는 해당 지역 지방자치단체가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과 자립을 위해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인식의 확립도 필요하다. 아울러 북한이탈주민들과 지역사회 주민, 기업, 시민단체들이 만남을 통해 소통하는 지역사회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고,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 남북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사업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태그

전체댓글 0

  • 6875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소태영의 세상보기] 북한이탈주민들은 남북한 분단과 갈등의 희생자이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