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9(월)
 

조하식.jpg

 

조하식(한광고 교사, 수필가) 
 


  주말 연휴를 맞아 남도 문예의 발자취를 더듬었다. 미뤄둔 고천암 철새도래지를 바라보며 들른 곳은 해남의 <우항리 공룡화석 자연사유적지>. 우선 어귀 습지에 자생하는 갈대숲에서 자연에 숨은 운치를 발견했다. 흠결은 나무가 아닌 인조 흙을 들이부어 만든 이동로. 안내도를 보니 공룡과 익룡 및 새발자국 화석산지라는데 중생대백악기 말기의 궤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자연사유산의 보고로써 충분한 학술적 가치를 지녔다는 결론이다. 천연기념물(제394호)다운 규화목 화석과 정관층 퇴적층이 눈길을 끌었고, 보기 드문 유적을 최대한 보존하려고 애쓴 친환경적인 맞춤형 건물의 구상과 시공이 돋보였다. 대형 초식공룡의 몸통을 본떠 돔형으로 형상화한 목구조 보호각이 단연 압권이었다.

  한때 하늘을 지배했던 파충류 투오지앙고사우루스(Tuojiangosaurus)가 만약 오늘날 산야를 마구 헤집고 다닌다면 어떻게 될까? 상상만 해도 자못 끔찍하다. 이는 1996년 미국의 콜로라도대학교 록클리(Martin G. Lockley) 교수에 의해 밝혀진 공룡발자국으로 현지 지명을 따서 특별히 ‘해남이엔시스’라 명명했다니 더욱 뜻이 깊다. 대형공룡관에 들어가 마멘치사우루스(Mamenchisaurus)의 긴 목(11m)과 전체 길이(21m)를 쳐다보니 불현듯 공전의 돌풍을 일으켰던 영화 ‘주라기공원’이 떠올랐다. 한 마리 무게가 무려 20톤이나 나간다니 가히 가공할 몸집. 차례로 국내뿐 아니라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언윈(David M. Unwin) 학자 등의 논평을 벽에 걸었는데 희귀한 흔적이기에 보다 흥미롭다는 게 그 골자였다.

세상사는 이야기.jpg
 

  ‘진도(珍島)’로 가는 길. 크기로는 제주와 거제에 이은 셋째였다. 시원스레 뚫린 간선도로며 노변에 설치한 휴식공간이 눈에 띄게 늘었다. 일단 ‘명량대첩비’를 훑고 나서 <국립진도국악원>을 찾았다. 사랑채, 진악당, 달빛마당, 별빛마당 등에 붙여진 이름이 정겹다. 야외공연장에 올라 툭 트인 앞자락을 조망하니 필시 소리하기에는 안성맞춤. 이 땅에서 그토록 오랜 기간 씻김굿이 명맥을 이어온 바나 아리랑의 큰 줄기를 형성한 연유를 굳이 설명하려는 터였다. 아내가 흘끔 산위에 박힌 바위며 먼 바다를 응시하더니 뭔가 짙은 기운이 느껴진다고 귀띔했다. 목하 우상숭배에 찌든 인간의 영적 분석에 들어간 참이다. 그 영역에 남다른 관심과 은사를 지닌 그녀이기에. 새삼스레 세월호의 쓰라림을 되새기려는 심사는 아니지만.

  고대 밟은 곳은 <남도석성>. 고려 원종 때 삼별초군이 행정상의 통치와 군사를 다스리기 위해 축성했다는 성곽이다. 호기심 많은 나는 냉큼 성곽 위로 올랐다. 그러나 아쉽게도 중도에서 멈추고 말았다. 둘레가 610m에 높이가 2.8~4.1m에 불과해 그리 큰 성채는 아니로되 그 안에 사는 주민들이 섬돌을 허물어 생계형 통로를 냈던 거였다. 채 10분이 안 걸리는 길이건만 한 바퀴를 오롯이 이어 돌지를 못하다니 안타까웠다. 이를테면 일주하는 묘미를 앗아간 셈. 남은 집들은 여느 농촌주택과 다를 게 없었고 개량이나 신축에 제한을 받아 하나같이 후줄근했다. 우리 부부는 거기 다도해상국립공원의 한가운데서 침소를 정했다.

  새벽같이 기도를 드린 뒤 모텔을 나섰다. ‘진도대교’를 건너기 전 울돌목의 물살을 하염없이 구경한 데는 <녹진 전망 좋은 곳>. 저런 열악한 여건을 딛고서 불과 열두 척의 배를 추슬러 그 열 배가 넘는 왜선을 무찔렀다니 놀랍다. 멀리서도 느껴지는 빠른 유속. 그 무엇에 앞서 충무공 이순신의 백의종군 정신은 기려야 마땅하다. 정자 바로 아래는 못 보던 관광지. 다소 난잡스러워 별반 색다를 건 없으되 깔끔한 화장실은 귀감으로 삼을 만했다. 나그네의 기분을 달뜨게 할 만치. 과제는 허울뿐인 ‘우수영관광지’의 내실을 다지는 일이다. 한산한 도로를 달리노라니 ‘만의총(萬義塚)’이라는 무덤이 보였다. 이름도 없이 빛도 없이 죽어간 의병들의 시신을 수습해 저토록 높다랗게 쌓았다면 역사는 사라진 병졸들의 죽음에도 얼마큼은 관심을 기울인 겐가? 정작 뼈아픈 건 모두의 영혼인 것을! <홈페이지 http://johs.wo.to/>
 
※ 다음호(322호)에서는 '남도 문예 기행' 2회 - <김영랑 생가>가 이어집니다. 독자, 시민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아울러 6년째 본보에 '세상사는 이야기'를 연재해주고 계신 조하식 선생님께 본보 임직원 모두가 감사드립니다.
 

★자치돌이★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태그

전체댓글 0

  • 7427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세상사는 이야기] 남도 문예 기행, 의 모습 (1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