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8(일)
 

평택의 문화재1.jpg
 

- 문화재명: 평택비파산성지
- 시대: 조선시대
- 지정번호: 경기도기념물 제204호
- 지정일자: 2005년 10월 17일
- 소재지: 안중읍 용성리 산6-1 외 24필지
- 소유자: 김경승 외 56인
- 관리자: 평택시
- 시대: 통일신라~조선시대
- 규모: 둘레 1,622m 높이는 8m, 폭 3m 면적 138,800㎡

■ 비파산성,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해

 비파산성은 평택시 서부의 안중면 용성3리 설창마을과 덕우1리 원덕마을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비파산(琵琶山:해발 102.2m)의 북쪽 정상부와 남동쪽 하단부의 용성리 뒷골을 포함하여 축조된 포곡식 형태의 토축 평산성이다.

 평택시에서 38번 국도를 따라 안중 방면으로 진행하여 면소재지 입구의 교차로에서 발안 방면의 39번 국도로 우회전하여 3km정도 북진하면 용성3리 설창마을 진입로에 이르게 된다. 여기에서 지하통로를 좌회전하여 설창마을로 들어가다 보면 옥길 정수장과 용성리성을 지나면서 북쪽에 위치한 비파산에 도달할 수 있다.

 비파산성은 평택의 서부지역에 위치하여 동쪽으로는 차령산맥과 평택시 일대, 남쪽으로 아산만, 서쪽으로 서해안, 북쪽으로는 화성시 일대가 한눈에 조망되는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1999년 경기도박물관에 의해 지표조사가 이루어졌으며, 2004년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연구소에 의해 시·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 행정치소 및 해안방어의 중심기능 담당해

 비파산성은 지형상 북고남저(北高南低)·서고동저(西高東低)의 형상을 하고 있다. 서벽과 북벽은 비파산의 주능선을 따라 진행되고, 남벽과 동벽의 일부는 얕은 능선이 감싸며 돌아가고 있다. 이 양능선사이의 계곡을 막아 동벽을 축조하였다. 성벽의 길이는 동벽 약 124m, 남벽 339m, 서벽 430m, 북벽 682m로 전체길이는 약 1,622m에 이르고 있다.

 동벽은 용성리 뒷골의 경작화로 인해 일부가 파괴되어 있는데, 파괴된 성벽의 절개부를 통하여 축조방법을 살펴보면 30cm 내외의 할석재를 사용하여 2단의 기단석렬을 조성한 후 암갈색 점질토와 적갈색 사질토를 교대로 쌓아가며 판축하였다. 판축층의 바깥쪽 측면은 일정정도 와적층을 쌓아 보강하였다. 남벽은 비파산의 능선을 따라 내외 겹축의 토루(土壘:흙으로 쌓은 작은 성)가 축조되었는데 일부구간은 민간 묘 조성과 토사로 인해 성벽이 유실되어 있다. 유실된 성벽은 서벽부에서 다시 시작되고 있으며 이곳의 성벽은 내벽이 없는 편축 성벽으로 성내에는 너비 3~5m정도의 회곽도가 조성되어 있다. 북벽은 정상부에서 시작하여 비파산의 하단부로 연결되고 있으며 편축 성벽으로 외벽의 높이는 약 10m내외이다.

 성내 시설물로는 문지 5개소와 치성 4개소, 건물터 14개소, 음료유구 5개소가 확인되고 있다. 성내외에서는 고려에서 조선시대까지의 기와편과 토기편, 자기편이 산재하여 있다. 비파산성의 북쪽으로는 약 100m 거리에 자미산성이, 남쪽으로 약 500m 거리에 용성리성지가 자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비파산의 남서향하는 지맥에서는 길이 약 7~8km의 석정리장성(石井里長城)이 이어지고 있어 이 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부각시켜주고 있다. 또한 이들 산성들의 분포되는 양상과 함께 '임경업장군설화'·'남매축성설화'가 전해지고 있어 산성배치와 설화권이 서로 무관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비파산성은 고려초기 현성으로 축조되어 행정치소 및 해안방어의 중심기능을 했던 성으로 당시 지방제도의 형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서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자료출처: 평택문화원 향토사연구소

정리 서태호 기자 ptlnews@hanmail.net

★자치돌이★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태그

전체댓글 0

  • 8563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평택의 문화재] 평택비파산성지(平澤 琵琶山城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