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5(목)
 

중앙동, 1914년 지장리·서정리·갈평리·대속동 통합해 서정리라 불러

이충동, 조선시대 진위현 송장면... 1914년 이충동·신리·석정동 통합

 

평택시사.png

▲ 옛 송탄시청이 위치했던 중앙동행정복지센터(2010)

 

◆ 중앙동(中央洞)


조선시대 진위현 송장면과 양성현 소고니면 지역이었다. 1914년 지장리·서정리·갈평리·대속동(대추동)을 통합해 서정리라 했다.


1. 서두물: 서정리초등학교 후문 일대의 자연마을. 동령마을 서쪽에 좋은 우물이 있어 ‘서우물’, ‘섯우물’이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됐다.

 

2. 대속동: 서정리역과 서정시장 일대의 자연마을로 ‘대추동’이라고도 했다.

 

3. 신선: 1914년 이전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고 해서 ‘신리’ 또는 ‘신설’이라고 했던 것을 한자로 ‘신선’이라 표기했다.

 

4. 신서(新西): 서정리역 주변이 도시화되면서 형성된 마을. 신선마을 서쪽에 해당돼 유래됐다.

 

5. 갈평(葛坪): 옛날에는 서정천을 따라 마을 앞까지 바닷물이 올라오고 간석지에 갈대가 많이 자라서 유래됐다.

 

6. 번성(蕃城): 서정동의 자연마을. 서정천 일대 하천부지를 간척하며 형성된 마을로 번성하라는 뜻에서 유래됐다.

 

7. 서정리역: 1905년 1월 1일 경부선이 개통되면서 설치된 기차역.

 

8. 서정시장: 서정리역이 설치되면서 역 주변에 형성된 전통시장. 처음에는 5일장이었지만 1970년대 후반부터 상설시장이 됐다.

 

평택시사2.png

▲ 이충동의 옛 중심 동령마을(2008)

 

◆ 이충동(二忠洞)


조선시대 진위현 송장면 지역이었다. 1914년 이충동·신리·대동령리·석정동을 통합해 송탄면 이충리라 했다. 이충이라는 지명은 정암 조광조(趙光祖)의 선산과 장토가 있었고 어릴 적 살았던 유허가 있고, 병자호란 삼학사 가운데 한 명인 추담 오달제의 옛집이 있어 두 명의 충신을 기리는 뜻에서 유래됐다.


1. 동령(東嶺): 고려시대 송장부곡, 조선시대 송장면의 중심마을이다. 마을 입구에 성재, 성물백이와 같은 지명이 있고 400여 년 전통의 정제와 줄다리기가 남아있다.

 

2. 이충(二忠): 이충동 부영아파트 일대에 있었던 자연마을. 조광조의 유허가 있었다.

 

3. 석정(石井): 이충동의 자연마을로 ‘돌우물’이라고 부른다. 돌 틈에서 물이 나오는 석간수가 있었다.

 

4. 신리(新里): ‘새터말’이라고도 한다.

 

5. 광말: 반지산 남쪽에 있는 마을. 택지 및 상가부지 개발로 폐동됐다.

 

6. 부락산: 송탄지역의 주산. 근대 전후 부락산(負樂山)·불악산(佛樂山)·조락산(鳥落山)·요악산·불학산 등으로 부르다가 1994년 부락산으로 명칭을 정리했다. 남쪽에 국제대학교·은혜중고등학교·이충레포츠센터·부락사회복지관·평택시북부복지타운·부락산 둘레길 등이 조성됐다.

 

7. 흔치고개: 삼남대로 대백치(큰 흰치고개)에서 이충동 동령마을로 내려오는 고개로 ‘작은 흰치고개’라 하다가 음이 변해 ‘흔치’라 부른다.

 

8. 서낭당(고개): 흔치휴게소를 지나 소골로 내려가는 고갯마루 서낭당. <참고문헌: 평택시사(평택시사편찬위원회 펴냄)> 


※ 다음호(628호)에서는 ‘평택시 장당동(獐堂洞)’ 지명 유래가 이어집니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7176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평택시史로 보는 ‘중앙동·이충동’ 지명 유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