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도대리, 조선시대 현암면... 1914년 천곡리·문곡리 일부 통합

방축리, 조선시대 현암면... 1914년 신기동·승량동면 국리 통합

 

평택시사.JPG

▲ 평택시 현덕면 노을

 

◆ 현덕면(玄德面) 도대리(道垈里)


조선시대 수원군 현암면 지역. 1914년 천곡리·문곡리 일부를 통합해 진위군 현덕면 도대리라 했다.


1. 도대: 지형이 돛대와 같다고 해 ‘돛대’, ‘되떼’라고 불렀던 것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2. 천곡(泉谷): 도대1리의 자연지명. 좋은 우물이 있어 ‘샘골’이라 했고, 도대리에 위치해 ‘도천곡’이라고 했다.

 

3. 원도대(元道垈): 도대2리의 자연마을. 도대리에서 제일 먼저 생긴 마을이다.

 

4. 문곡(文谷): 도대3리의 자연지명. 권관리 문곡마을과 구별해 ‘도문곡’ 또는 글 읽는 사람이 많다고 해 ‘글갱이’라고도 한다.


◆ 현덕면 방축리(防築里)


조선시대 수원군 현암면 지역. 1914년 방축동·신기동·승량동면의 국리를 통합해 방축리라 했다. 방축은 방죽말에서 유래됐다. 자연마을은 ‘방죽말(1리)’과 ‘국말(2리)’로 나뉜다. 방죽말은 다시 ‘새터’, ‘수사리’, ‘방죽말’로 구분되고 국말은 ‘윗말’, ‘아랫말’, ‘갈마지’로 나뉜다.


1. 원방축(元防築): 방축1리의 지명. 마을 입구에 논방죽이 있어 ‘방죽말’이라고 했던 것을 한자로 ‘방축’이라 했다. 자연마을로는 ‘새터’, ‘수사리’, ‘방죽말’이 있다.

 

2. 국리(菊里): 방축2리의 마을지명. 본래 궁리라 했지만 ‘조선 인조 때 이괄의 난이 일어났다. 반란군의 기세에 깜짝 놀란 인조임금은 서둘러 공주로 피난을 나섰다. 그때 임금이 마을을 지나다가 하룻밤을 유숙하게 됐는데 그 뒤로 행궁(별궁)이 있었다’고 해 궁리(宮里)라고 했던 것을 나중에 음이 변해 국리가 됐다. 국리는 윗말·아랫말·갈마지로 나뉜다.

 

3. 신기(新基): 새로 터를 잡은 마을이라는 뜻이다.

 

4. 와촌(瓦村): 기와집이 있는 마을에서 유래됐다. <참고문헌: 평택시사(평택시사편찬위원회 펴냄)> 


※ 다음호(624호)에서는 ‘평택시 현덕면 신왕리(新旺里)’ 지명 유래가 이어집니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3899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평택시史로 보는 ‘현덕면 도대리·방축리’ 지명 유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