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여염리, 조선시대 진위현 지역... 삼성전자 건설 2013년 폐동

율포리, 조선시대에는 양성현·진위현 지역... 1914년 통합해

 

평택시사.jpg
▲ 조선시대(대동방여전도)의 평택지역

 

◆ 고덕면(古德面) 여염리(余染里)


조선시대에는 진위현 고두면 지역. 1914년 성두(성머리)를 병합해 진위군 고덕면 여염리로 편제됐다. 여염이라는 지명은 ‘여(余)씨가 이룬 마을’이라는 설과 ‘일반인(평민)들이 거주하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있으며, 삼성전자 평택사업장 건설로 2013년 폐동됐다.


1. 성두(城頭): 여염1리의 자연마을. 마을 주위로 방축리 성터가 둘러싸여 있는데 성(城)의 머리 부분에 해당한다고 해 유래됐다. ‘성머리’라고도 부른다.

2. 임주(任珠): 여염2리의 마을. 마을 뒷산의 형세가 용이 여의주(珠)를 희롱하는 형상이라고 해 유래됐다는 설과, 옛날에 임금님이 지나다가 하루 묵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전한다.

3. 아사리벌: 여염3리의 마을. 토지가 척박하고 생활조건이 나빠 유래됐는데 한국전쟁 뒤 피난민들이 몰려들면서 마을규모가 커졌다.

4. 용우물: 여염2리 임주 마을에 있는 공동우물. 이괄의 난 때 발이 다 자라지 않은 용이 나와 하늘로 승천했다는 설화가 전한다.


◆ 고덕면 율포리(栗浦里)


조선시대에는 양성현 소고니면과 진위현 고두면 지역이었다가 1914년 소고니면 율포리를 통합해 율포리라 했다.


1. 방죽말: 율포1리의 마을. 예부터 마을에 방죽이 있어 유래됐다. ‘동촌’이라고도 한다.

2. 율포(栗浦): 근대 이전만 해도 밤나무가 무성한데다 바닷물이 들어오고 포구浦가 발달해 유래됐다. ‘중촌’, ‘방개울’이라고도 한다.

3. 이화동(梨花洞): 율포3리의 마을. 마을 주변에 배 과수원이 많아 배꽃이 만발한 마을이라는 뜻에서 유래됐다. ‘이월동’이라고도 한다.

4. 구방죽: 방죽말에서 가장 먼저 쌓은 저수지.

5. 양성말: 밤개울의 자연마을. 조선시대에 양성현 소고니면에 속했다.

6. 아홉거리: 밤개울 뒤 산등성이의 거리. ‘아옥거리’라고도 했다. <참고문헌: 평택시사(평택시사편찬위원회 펴냄)> 


※ 다음호(610호)에서는 ‘평택시 오성면 교포리 지명 유래’가 이어집니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3943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평택시史로 보는 ‘고덕면 여염리·율포리’ 지명 유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