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0(토)
 
세상사는 이야기 증명사진.jpg
조하식(수필가·시조시인)

 박재용 동국대 겸임교수의 “심복사와 비로자나불 - 부처가 바다에서 나온 까닭은?”은 비교적 친숙한 제목이었다. ‘평택섶길 명상길’을 돌 때 둘러보았기 때문이다. 거기에 얽힌 설화를 정리해 기고한 ‘평택시민신문’(2020.12.30.)을 들쳐 보니 ‘절 입구에 세운 우보살 공덕찬은 광덕산 심복사(深福寺) 사부대중들이 우직한 일꾼으로 살다 죽어간 검은 소들의 넋을 기리는 송가였다. 사찰건립 당시 목재를 운반했던 소들을 보살처럼 깍듯이 묻어주고 심우총(尋牛塚) 앞에서 해마다 성묘를 지낸다니 줄곧 절터를 지켰을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565호)은 뭐라 염불할지 자못 궁금증이 일었다. 물론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되 나름 짚고 넘어갈 구석은 있어 뵌다. 요즘 개고기를 금하자는 마당에 공헌도로 치면야 우공(牛公)들을 보니 살점을 부위별로 발라낸 뒤 뼈다귀까지 고아 먹는 것도 모자라 발톱에 터럭마저 장식품이나 붓으로 쓰는 걸 보노라면 저리 떠받들 구실은 갖춘 셈이다.’라고 적혀있었다.


  발표자의 관심은 구비문학의 사실성이나 완결성이 아닌 특이한 서사구조에 있었다. 메신저보다는 메시지의 재해석에 따른 실생활과의 연계 여부랄까. 켜켜이 쌓인 적층문학의 핵심을 제대로 간파한 참이다. 유달리 종요로운 곳은 그 시절 사찰의 야외에서 펼친 설법 강좌[野壇法席]처럼 ‘평택은 그 지정학적 특수성으로 인해 원효·의상·혜초로 대비되는 구법승들의 엇갈린 행보가 공존했던 곳’이라는 문장으로 가히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와 성격을 단칼에 응축한 표현이었다. 2017년 과거의 시공을 재현한 ‘빛따라 한발디딤’이라는 지역축제가 열린 일도 이번에 알았다. 심혈을 기울인 연구물을 읽는 동안 기억에 남은 건 ‘심복사는 언제 어떻게 세워졌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는 것과 불상은 고려 초기에 조성된 걸로 추정한다’는 내용이었다. 운율에 맞는 <화엄경>의 번역문이나 현란한 불교 용어를 비롯해 부처가 깨달음을 주기 위해 사람들 앞에 나타난다는 ‘나투다’라는 낱말도 호기심 많은 나를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김학범 한경대 명예교수의 “원효길의 역사문화적 상징과 의미”는 그나마 익숙하게 읽을 수 있는 논제였다. 발표자가 내린 정의처럼 길은 기점과 종점을 연결하는 하나의 행로다. 인생길 역시 출발이 있고 마침이 있을 것이다. 맨 처음 가는 사람이 길을 뚫었기에 인류는 교류했으며 갖가지 문화를 만들어냈다. 그 중심에 종교들이 똬리를 틀더니 여러 순례길이 생겼다. 국내만 해도 1980년대부터 정부 주관 하에 전국 옛길을 찾아 조성한 ‘조국순례 자연보도’를 필두로 2021.8.6. 현재 한국관광공사에 538개의 트레일이 등록돼 있다고 한다. 스페인의 ‘산티아고순례길’이 세계적으로 유명해졌고 어느새 그곳을 벤치마킹한 ‘제주올레’가 세인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다. 우리 평택에는 총 16개 코스의 오백리 섶길이 시민의 발길을 기다리고 있다. 그중에 ‘원효길’이 갖는 역사·문화적 상징성은 깊고도 넓다. 인간은 길에서 태어나고 뛰어놀다가 묻히기 때문이다.


2번째.jpg


  길이 지닌 문화경관으로서의 의미는 지속 가능한 가치다. 문화와 경관은 매우 밀접한 어휘여서다. 삶의 총체적 양식이 문화이므로 경관은 자연스레 종교 경관, 민속 경관, 언어 경관, 농촌 경관, 도시 경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게 논자의 혜안이다. 이제 경관을 읽고[讀] 해석[解]한다는 이른바 ‘경관독해’의 개념은 문해력(literacy)에 속한다. 적시한 말마따나 ‘과거의 경관을 이해하려면 그것이 형성될 당시 사람들의 사고방식이나 그들의 사회조건, 자연조건 등의 문화적 맥락을 염두에 둬야 하는 때‘가 눈앞에 도래한 참이다. 한 인간의 정체성은 기억과 정서적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생태환경은 물론 사투리, 역사유적, 옛 마을, 건축물, 예술품, 음식물, 나아가 종교를 통한 자아를 만나고서야 자긍심을 키우며 미래를 열어가는 법이다.


  그런 측면에서 발표자가 소개한 서양의 형태이론은 효율적인 지침이다. 모든 장소는 그 모양에 의해 그 쓰임이 결정된다(Form follows function or Function follows form). 굳이 양자의 불가분성을 강조하지 않더라도 정치한 설계와 정교한 시공이야말로 늘 유효한 이유이리라. 눈과 입이 즐겁고 맘과 발이 편한 곳이라야 사람들이 꼬일 테니 말이다. 남은 과제는 ’원효길‘의 재현이요 복원이다. 지난 2009년 문화관광부에서 발표한 원효대사의 구도행로를 추적한 순례길은 항간에 잘 알려지지도 않았다. 발표자는 시종착점에 원효대사비의 건립부터 추진하자고 제안한다. 그래야만이 원효를 상징하는 길이 된다는 주문이다. 아울러 평택항의 상징성을 부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제대로 인프라를 갖추고 상응한 의미체계를 갖추면 사람들은 수소문 끝에라도 찾아오기 마련이다.



■ 프로필


- 고교생에게 국어와 문학을 가르치며 수필집·시조집·기행집 등을 펴냈습니다.

- 평택에서 기고 활동과 기독교 철학박사(Ph.D.) 과정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블로그 “조하식의 즐거운 집” http://blog.naver.com/johash 꾸립니다.

- <평택자치신문>에 “세상사는 이야기”를 12년째 연재하는 중입니다.


※ 다음호(609호)에는 “큰스님들이 걸었던 옛길 - 학술토론을 환기함”이 이어집니다. 



태그

전체댓글 0

  • 9956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세상사는 이야기] “큰스님들이 걸었던 옛길” 평택섶길을 소환함 (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